손등 점, 혹시 악성 흑색종일까? (증상·진단·치료·예방 총정리)

1. 손등에 생긴 점, 그냥 두어도 될까?

많은 분들이 “언제 생겼는지 모르던 점이 최근에 커지는 것 같다”는 상황에서 불안감을 느낍니다. 단순한 점(모반)일 가능성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악성 흑색종(멜라닌종, melanoma) 같은 피부암일 수도 있습니다. 흑색종은 조기 발견하면 완치율이 높지만, 방치하면 전이가 빨라 위험합니다.

2. 악성 흑색종이란?

- 정의: 피부의 색소세포(멜라닌세포)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
- 특징: 다른 피부암에 비해 성장과 전이가 빠름
- 호발 부위: 얼굴, 손등, 발바닥, 손톱 주변 등 자외선 노출이 잦거나 압박을 많이 받는 부위

3. 흑색종 의심 증상 (ABCDE 체크리스트)

피부과 전문의들은 흔히 ABCDE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 A (Asymmetry): 좌우 모양이 비대칭인가?
  • B (Border): 테두리가 울퉁불퉁하고 불규칙한가?
  • C (Color): 검은색·갈색·빨강·하양 등이 섞여 색이 균일하지 않은가?
  • D (Diameter): 지름이 6mm 이상인가?
  • E (Evolving): 크기·색·모양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는가?

혹시 점이 “점이 점점 커진다”는 것은 E (변화) 항목에 해당하며, 반드시 검사 필요 신호입니다.

4. 피부과에서 어떻게 검사할까?

1) 문진: 언제부터 있었는지, 최근 변화 여부 확인
2) 피부확대경 검사(Dermoscopy): 점의 패턴, 색 분포 확인
3) 조직검사(Biopsy): 일부 조직을 떼어 현미경으로 확진
4) 필요 시 영상검사: 림프절이나 전이 여부 확인

5. 치료 방법

- 초기 단계: 국소 절제술(점과 주변 피부를 일정 범위까지 제거) → 완치율 높음
- 진행 단계: 면역치료제(키트루다, 옵디보 등), 표적치료제, 방사선 치료 병행 가능
- 말기 단계: 전이된 경우 다학제 치료 필요

6. 예방과 조기 발견 팁

- 자외선 차단제 꾸준히 사용하기
- 피부 자가검진: 한 달에 한 번 거울로 점·기미·반점 변화 확인
- 정기 검진: 가족력 있거나 점이 많은 사람은 피부과 정기 체크 권장

7. 자주 묻는 질문 (FAQ)

Q. 점이 커지면 무조건 흑색종인가요?
A. 아닙니다. 대부분은 양성 점이지만, 변화를 보이면 반드시 검진이 필요합니다.

Q. 출혈·가려움이 있으면 더 위험한가요?
A. 예. 출혈·가려움·딱지 같은 증상은 흑색종 가능성을 높이므로 즉시 진료가 필요합니다.

Q. 수술하면 흉터가 남나요?
A. 초기에 제거하면 흉터는 작고,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을 피할 수 있어 훨씬 유리합니다.

8. 정리

- 손등의 점이 최근 커지고 있거나 변하고 있다면 반드시 주의해야 합니다.
- ABCDE 기준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 피부과 진료 + 필요 시 조직검사를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 흑색종은 조기 발견 시 완치율이 90% 이상이지만, 늦으면 전이가 빨라 예후가 나쁩니다.

✅ 결론

“커지고 있는 점”은 방치하지 말고, 피부과에서 확대경 검사와 필요 시 조직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생명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조기 검진입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네어버 추천검색어 , 숏텐츠 now 제거방법

너의 이름은 재개봉? IMAX 특별상영 일정 총정리

1분이면 충분! 반려동물 보험 제대로 가입하는 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