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도약계좌와 청년미래적금 비교, 및 어느것을 가입해야 유리할까?
청년도약계좌 vs 청년미래적금
청년도약계좌와 청년미래적금은 모두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는 정부 정책 상품이지만 가입 기간, 정부 지원 방식, 인출 유연성 등에서 확실한 차이가 있습니다.
주요 차이점 한눈에 보기
구분 | 청년도약계좌 | 청년미래적금 |
---|---|---|
출시 시기 | 2023년~2025년 | 2026년 (예산안 반영, ’26 시행 예정) |
가입 기간 | 5년 고정 | 3년 만기 (예산안 기준) |
납입 한도 | 월 최대 70만 원 | 월 최대 50만 원 (예산안 기준) |
정부 지원 | 소득에 따른 기여금, 이자 지원 | 납입액 일부 매칭 6%(일반)~12%(우대) ※ 일부 보도에서 우대 인센티브 별도 언급 |
세제 혜택 | 비과세 (’25 신규까지 적용) | 비과세 유지 예정 (예산안 단계) |
인출 유연성 | 중도 해지 시 불이익 ※ ’25부터 부분 인출 1회, 최대 40% 조건부 허용 |
부분 인출 가능 여부 미정 (세부지침 확정 필요) |
운영 여부 | ’25년 말 세제지원 일몰(신규 사실상 종료), 기존 가입은 만기까지 혜택 | 신설 후 장기 운영 가능성 (정책 방향) |
청년도약계좌 특징
- 5년 만기로 장기간 자금이 묶이지만, 만기까지 유지 시 최대 5천만 원 수준의 목돈 형성 가능(개인 납입/지원 조건에 따라 상이).
- 정부가 개인의 소득 및 납입 금액에 따라 기여금 지급.
- 2025년 말로 신규 비과세 혜택 종료, 기존 가입자는 약정 만기까지 혜택 유지.
- 중도 해지 시 불이익. 추가: ’25년부터 부분 인출 서비스(가입 2년 경과, 1회, 기존 납입금의 최대 40%) 도입.
청년미래적금 특징
- 3년 단기 상품으로 사회초년생 등 유동성 수요에 유리.
- 정부가 납입액의 일부를 매칭(일반 6%·우대 12%) 지원(예산안 기준).
- 비과세 적용 예정(예산안 단계).
- 부분 인출 등 세부 운영 규정은 미정(시행지침에서 확정).
- 2026년부터 본격 도입 예상.
선택법 및 주의사항
- 목돈 마련이 1순위라면 장기 상품인 청년도약계좌 유리.
- 단기 자금 계획·유동성을 중시하면 청년미래적금이 실질적.
- 정부 지원·세부 규정은 변동 가능 → 공식 고시를 반드시 확인.
청년미래적금의 장점 (최근 추세 반영)
- 단기 상품(3년) → 납입 부담이 낮음
- 정부 매칭(6~12%) → 체감 가능한 지원
- 비과세 적용 → 이자 과세 부담 없음
- 도약계좌 대비 실용성 → 5년 장기 부담 완화, 대상 약 480만 명 수준으로 폭넓게 설계
- 전환 가능성 → 도약계좌 → 미래적금 전환 방안 검토 보도(세부는 추후 공지)
결론
- 이미 도약계좌 보유 & 5년 유지 가능 → 유지가 유리 (중도해지 시 혜택 상실).
- 3년 단기 + 정부 매칭 혜택을 크게 보려면 → 청년미래적금이 더 유리할 수 있음.
즉,
도약계좌 = 장기·비과세·꾸준히 가능할 때
미래적금 = 단기·정부지원·실속형